고혈압은 자칫 뇌혈관이 터질 수 있는 위험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매우 위험한 질병이다. 고혈압은 인체 내에서 산소가 잘 전달되지 않는 현상이므로 반드시 산소가 잘 전달되는 인체 구조로 바꾸어 주어야한다. 그런데 많은 환자들이 혈압약으로 혈압만 낮춰주면 안전한 것으로 오해하는데 그것은 매우 큰 오해다. 혈압약과 인체의 생리적인 영향을 알아보자. 고혈압의 본질로 본 혈압약의 인체영향 혈압은 심장이 세포에 혈액을 공급하기 위한 노력의 결과다. 혈액중에서 혈압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산소다. 운동할 때나 숨을 멈출 때, 공기가 탁한곳에서 혹은 고산지대에서 숨이 차고 혈압이 높아지는 이유도 바로 혈액중 물과 영향이 아닌 산소를 많이 공급하기 위함이다. 혈압이 높다는 것은 세포에 산소공급이 잘 안된다는 것이다. 세포가 산소가 충분히 공급되지 못하면 에너지 대사가 안 돼 많은 젖산과 활성산소가 발생하여 결국 암이 발생한다. 따라서 혈압이 높다면 반드시 혈류를 개선하여 자연스럽게 혈압을 높이지 않아도 세포에 충분한 산소가 공급되도록 해야 건강을 유지할 수 있다. 문제는 현대의학이 고혈압의 원인을 밝히지 못해 유전(95%)이라고 정의하고 치료가 불가능한 병이라고 하면서 약으로 혈압만 낮춘다는 것이다. 혈압약은 그 종류가 수백 가지에 이르는데 혈압약의 주요한 혈압강하 원리를 알아보고 그러한 처방이 인체에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인가를 생리학적 측면, 즉 산소공급 관점에서 살펴보자. ● 강제 이뇨방식 혈압약 중에 하이드로클로로티아자이드(hydrochlorothiazide)라는 강력한 이뇨제를 투여하여 혈압이 높아지지 않게하는 방식이 있다. 혈관에 물리 적어지면 심장이 큰 힘을 가하더라도 혈관에는 압력이 미치지 못하게 하는 것이다. 그런데 이뇨제를 써서 보유해야 할 물을 강제로 배출시킨다면 인체가 어떻게 되겠는가? 이 경우 우리 몸에서 물이 부좃해져서 물이 해야 할 역할을 다하지 못한다. 인체에서 산소와 영양을 공급하는 등 수백가지의 작용을 하는 물을 단지 혈압을 낮출 목적으로 강제배출시킨다면 생리작용에 이상이 발생할 수밖에 없다. 물이 부족해지면 노화가 빨라지고 인체는 생명현상을 잃어가는 것이다. 그 부작용은 지면이 부족하여 나열하기 어려울 정도로 많다. 강제이뇨방식은 혹 신부전이라 할지라도 신부전에 의해 이뇨가 안 되는 부분을 해소하는 의미 외에는 특별한 의미가 없다. 또 신부전에 의한 고혈압은 물을 배출하지 못해서가 이니고 신장이 노폐물을 배출하지 못해 혈액이 탁해진 경우만이 진정한 혈압상승의 의미가 있다. 강제적인 이뇨방식의 경우 물 부족으로 혈액이 걸쭉해져 세포에 산소공급을 하는 데 도리어 방해가 된다. 즉 실질적인 의미의 혈압상승 압력을 더 받는 조건이 된다는 것이다. 이는 진정 세포가 원하는 산소 공급과는 정반대의 상황을 만드는 것이다. 그럼에도 혈압약으로 혈압이 내려가는 이유는 심장이 압력을 가해도 혈액량이 너무 부족하여 혈관 안에 물이 충분히 차 있지 못하기 때문이다. 혈압약을 먹는 이유는 혈관이 터지는 것을 방지하는 목적이 가장 클 것이다. 하지만 혈관이 터지는 이유 역시 산소부족 때문이지 물이 많다고 해서 결코 터지지는 않는다. 인체는 필요하지 않은 짓을 절대 하지 않는다. 스테로이드 치료 등 약을 남용하다가 이뇨가 안 돼 몸이 뚱뚱 부어도 환자의 혈관은 결코 터지지 않는 것을 상기한다면 이해가 될 것이다.
● 교감신경 차단방법. 세포는 산소가 부족하면 교감신경을 통해 뇌에 산소(적혈구)를 더 공급해 달라고 신호를 보낸다. 이때 심장은 뇌의 명령을 받고 세포에 부족한 산소를 더 보내려고 애를 쓴다. 그러기 위해서는 많은 양의 혈액을 보내야하고 그결과 혀랍이 상슨하는 것이다. 이경우 반드시 혈압을 높여야한한다. 예를 들면 운동을 한다든가 공기가 탁한곳에서는 혈압을 높여서 세포가 필요로하는 산소를 공급해 줘야한다. 그런데 교감신경을 차단하여 세포의 산소부족 현상을 신호를 감지하지 못하게 하면 심장세포는 뇌로부터의 신호를 전달받지 못한다. 따라서 심장은 정작 필요할 때 자신이 할 일을 하지 못한다. 그렇다면 우리 몸은 어떻게 될까? 정작 필요한 산소를 공급받지 못한 세포는 산소부족 현상이라는 고통으로부터 벗어날 수가 없게 된다. 두통을 호소하고 에너지 대사가 안돼 운동능력도 떨어지거나 발기부전을 비롯한 심각한 문제가 발생한다. ● 혈관 이완방식(칼슘길항제) 혈관은 세포에 필요한 산소공급을 위해 가장 적절한 방법으로 수축과 이완을 반복한다. 그런데 혈관으로 가는 칼슘통로를 차단해 심장과 혈관이 힘을 쓰지 못하게 하면 혈압은 올라갈 수가 없다. 칼슘길항제가 그 역할을 한다. 이 경우 심장이 힘을 쓰지 못하니 세포에 정작 필요한 산소를 공급하지 못하게 되어 세포의 고통은 가중된다. 게다가 혈관마저 원하는 대로 수축과 이완을 마음대로 할 수 없게 만들기 때문에 운동능력저하는 물론 자궁수축력이 떨어져 정상적인 생리작용을 할 수가 없다. 심장도 힘을 못 쓰게 하고, 혈관도 수축을 못하고 항상 축 늘어지게 만드는 것이다. 그나마 고통에서 벋어나 보려고 애를 쓰고 있는 인체에 정상적인 생리활동이 불가능하게 만드는 것이다.
출처 : 고혈압, 산소가 길이다(본문 137-140페이지 요약) |
'생활의 지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운 보충' 홍삼, 먹으면 오히려 독 되는 사람은? (Scrap) (0) | 2014.01.04 |
---|---|
[스크랩] 청국장에 양파, 꽁치..고혈압 막아주는 음식들 (0) | 2014.01.03 |
[스크랩] 혈압약 복용시 주의사항 (0) | 2014.01.03 |
[스크랩] 머릿속의 시한폭탄 “뇌동맥류” (0) | 2014.01.02 |
[스크랩] 심장마비 초기증세와 예방법 (0) | 2014.01.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