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재테크,노후준비

[스크랩] 고수의 땅구입 방법과 하수의 방법

Tony the 명품 2015. 4. 16. 09:53

고수의 땅구입 방법과 하수의 방법

고수

 

1단계 - 컨설턴트 브리핑 듣고 나서 접근성 알아보기 위해 우선적으로, 지적도를 믿고 (현지 실사 위해) 현장 방문한다.

브리핑 듣고 나서 한참 시간이 지나면 브리핑 내역과 현장분위기를 정확하게 비교분석 하기 힘들기 때문에 브리핑과 동시에 현장 방문을 실행하는 것이다.

 

2단계 - 용도지역 통해 땅 자질, 성질을 자치단체 방문을 통해 정확하게 견지한다.

 

3단계 - 개발청사진에 관한 사안 역시 자치단체를 상용

 

4단계 - 현장에 재차 방문하여 지상물 배치상태와 인구상태 및 차량이동상황 등을 다각도로 모색한다.

그리고 주변 대도시(주거인구 60만 명 넘는)와의 접근 및 인접성을 체크한다.

 

5단계 - 가격과 시세 점검.

시세보다 분양가가 터무니 없이 비싸다는 느낌이 들면 매입 포기.

추후, 환금성에 걸림돌이 될 만한 물건이니까.

거품가격의 땅을 매수할 자는 거의 없다.

 

6단계 - 법무사사무실이나 컨설팅회사에서 계약서 쓴다.

가급적 현장에서 급하게 계약서 쓰는 일을 하지 않는다.

업자는 보통 현장에서 정계약서 쓰기를 종용한다.

 

 

 

하수

 

1단계 - 개발청사진을 경청한다. 진지한 자세로 정독한다. 흥미진진하게 들으려 노력한다.

 

2단계 - 용도지역 확인.

도시 및 계획관리지역에 열중.

 

3단계 - 현장 가기 전에 위성사진 통해 위치 확인.

 

4단계 - 업자와 현장 방문해 현장에서 정계약서 쓴다.

자의가 아닌, 타의에 의해서 말이다.

업자 대부분은 현장에서 최종결정하기를 종용하기 때문.

 

하수는 도시지역 맹지를 인근 시세 대비 비싸게 매입한다.

고수는 도로 접한 비도시지역 땅을 인근 시세보다 아주 저렴한 가격에 매입한다.

하수는 개발청사진에 집착하나, 고수는 개발청사진을 그저 참고사항으로만 여긴다.

왜냐, 개발청사진엔 항시 변수가 뒤따른다는 사실을 오래 전부터 익히 알고 있는 상태이기 때문.

 


 

 

 

농가주택 리모델링, 시골집 수리하기, 전원주택, 통나무주택, 목조주택, 주말주택, 세컨드하우스, 황토주택,

귀농, 귀촌, 강원도 부동산, 횡성 부동산의 모든 것이 산골전원주택이야기에 다 있습니다.

 

한번의 추천은 우리의 마음을 풍요롭게 한답니다

 

 

                                                                       

 

즐감하셨으면 ▼ 하단에 추천하기 추천하기 한표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출처 : 산골 전원주택이야기(전원 황토 농가주택 땅 토지 부동산 )
글쓴이 : 봉여사 원글보기
메모 : 고수의 땅구입 방법과 하수의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