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ny의 잡생각...^^

[스크랩] ‘넉넉한 노숙’… 재활의지 감감

Tony the 명품 2008. 12. 9. 06:57
뉴스: ‘넉넉한 노숙’… 재활의지 감감
출처: 서울신문 2008.12.09 06:49
출처 : 문화생활일반
글쓴이 : 서울신문 원글보기
메모 :

넉넉한 노숙’… 재활의지 감감

서울신문 | 기사입력 2008.12.09

[서울신문] 경기불황 등의 여파로 노숙자가 갈수록 급증하고 있다.정부의 공식 통계치는 거리나 상담센터 등에 기거하는 4484명(8월말 현재)에 불과하지만 생활이 쪼들리면서 기초생활수급자와 일용직 노동자들이 노숙자 신세로 전락하는 예는 기하급수적으로 늘고 있다.이에 따라 서울신문은 전국 최대의 노숙자 밀집지역인 영등포 일대를 대상으로 노숙자들과 함께 이들의 생활실태,빈곤의 악순환 구조 등을 소개하고 최근 발아한 '풀뿌리 빈곤운동' 등 대안을 제시하는 시리즈를 5회에 걸쳐 싣는다.

노숙생활을 하고 있는 이병민(35·가명)씨와 정민호(52·가명)씨는 지난달 28일부터 이달 7일까지 취재진을 서울 영등포 노숙자 밀집지역으로 초대했다.이들과 함께 한 영등포 지역은 의식주를 해결하기에 충분한 곳이었다.맘만 먹으면 하루에 여덟 끼도 먹을 수 있었고,교회를 돌면서 예배를 보고 '구제금'을 받아 하루 3만원도 벌 수 있었다.이들은 "가장 티가 나는 게 의식주 지원이어서 중복되는 것 같다."면서 "이런 지원도 고맙지만 지나치면 노숙자들이 스스로 '노숙의 늪'으로 빠져들게 하는 역효과도 있는 만큼 자활의지를 키워 주는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지난달 30일 해가 뜨기 전인 오전 6시 이병민씨는 노숙인 상담센터인 햇살보금자리를 나섰다.그가 간 곳은 인근의 한 PC방.7시30분쯤에는 근처 G교회로 가서 아침을 먹었고,다시 PC방으로 돌아왔다.이씨는 11시30분쯤 "경마를 하러 가야 하니 빨리 점심을 먹자."며 취재진을 G교회로 데려 갔다.메뉴는 시래기국,김치,깻잎무침,꽁치조림.이씨는 "고기가 자주 나와 인기가 많은 곳인데 오늘은 고기 대신에 꽁치가 나왔다."면서 "무료급식소가 50여곳은 된다."고 귀띔했다.

 이씨에 따르면 노숙인들은 단골 급식시설의 반찬이 부실할 경우 중구의 구세군이나 종로구의 종로교회로 원정을 간다.급식 자체가 지겨워지면 보통 6명씩 짝을 지어 예식장에 가서 뷔페를 먹기도 한다.이씨는 "하루에 여덟 끼 먹고 간식도 챙겨 먹을 수 있다."고 말했다.

 이씨는 오후 6시 저녁을 먹기 위해 노숙인 상담센터로 돌아왔다.그리고 저녁 7시 다시 PC방으로 향했다.겨울이 다가오지만 추위 걱정은 없다.올해도 이미 두 곳의 교회에서 오리털점퍼를 지급했고,앞으로도 세곳 이상에서 점퍼를 받을 예정이다.노숙자 센터나 시설에서도 세 달에 한 번씩 점퍼가 지급된다.대부분의 노숙자들은 세곳 이상의 센터나 시설에 이름이 올라 있다.이씨는 "점퍼를 많이 받아 놓으면 짐만 되기 때문에 입을 것을 제외하고는 시장에 5000원씩 내다 판다."고 말했다.

 몇천원만 있어도 PC방이나 사우나 등을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잠자리는 문제가 되지 않는다.돈이 떨어지면 센터나 시설로 들어가면 된다.이씨는 "의식주가 해결되니까 일할 능력이 있어도 안하는 경우도 많다."면서 "생활비가 안 들어가니 막노동으로 하루만 일해도 1주일간 즐겁게 지낼 수 있다."고 말했다.

 정민호씨는 지난 7일 취재진에게 '짤짤이'라고 불리는 교회 구제금을 받는 방법을 얘기해 줬다.구제금은 노숙자들이 예배를 보면 교회에서 1인당 500~2000원의 현금을 주는 것을 말한다.아침 7시30분 정씨는 '목동 코스'를 골랐다.코스는 요일마다 다양하다.화요일과 금요일은 주로 '서대문 코스'를 가는데 구제금을 주는 교회가 20곳이나 몰려 있다.수요일은 교회 4곳을 돌면 3000원을 벌 수 있는 '청량리코스'를,토요일에는 5000원을 벌 수 있는 '수원 코스'를,일요일에는 목동 코스를 주로 이용한다.정씨는 "일요일에는 5000원을 주는 교회가 있는 '일산 코스'도 좀 멀긴 하지만 인기가 많다."고 말했다.이들이 전철을 이용할 때는 무임 승차한다.

 정씨와 함께 간 목동의 한 교회는 규모가 작았다.예배를 마칠 때쯤 정씨는 500원을 받았다.애초 2000원이었는데 요즘 노숙자들이 몰려들면서 500원으로 줄었다.정씨는 급하게 발길을 옮겼다.10곳은 돌아야 목표액인 1만원을 벌 수 있기 때문이다.힘들지 않냐는 질문에 정씨는 "운동도 하고 돈도 버는 것"이라면서 "건강에 자신있는 사람들은 하루에 2~3개 코스를 돌아다니며 3만원을 벌기도 한다."고 말했다.

 점심은 구제금 코스 중 하나인 Y교회에서 해결했다.오후 3시 10번째 교회를 마지막으로 정씨의 '짤짤이'가 끝났고 7000원을 수중에 쥐었다.그는 곧바로 경마장으로 향했고,얼마 지나지 않아 다 잃었다.

특별취재팀
■ 노숙·쉼터… 병 나면 기초수급자로

벗어나지 못하는 악순환

노숙자들은 "거리노숙자·시설노숙자·기초수급자·일용직노동자는 결국 하나로 보면 된다."고 말한다.기초수급자와 일용직노동자도 사정이 여의치 않으면 언제든지 거리·시설노숙자가 될 수 있다는 얘기다.

노숙자 윤세형(54·가명)씨가 대표적인 사례다.그는 보통 노숙자들이 거리에 나서는 '3대 동기'인 실직·파산·가정불화 중 파산으로 2006년부터 거리에 나섰다.취재팀이 실시한 설문에도 노숙의 이유를 묻는 문항에서 3대 동기는 87%를 차지했다.

윤씨는 애초 일용직 노동자였다.하지만 일자리가 없어지면서 월 5~6일은 굶어야 했고 거리를 배회했다.이후 윤씨는 거리생활을 버티지 못하고 노숙자 상담센터 입소해 시설노숙자로 분류됐다.상담센터는 숙식을 제공하지만 15일 이상 체류할 수 없다.이후에도 건강 등이 나빠지면 쉼터로 보내진다.

몸이 급속도로 나빠진 윤씨는 어쩔 수 없이 올 초 노숙자 쉼터에 입소하게 됐다.윤씨는 "동사무소에 가면 기초수급자가 될 수 있다는데 아직은 움직일 만하다."고 말했다.노숙자들에게 기초수급은 마지막 단계다.노숙을 하다가 병을 얻거나 알코올중독이 됐을 때는 이 길을 택한다.

▲이경주 장형우 허백윤 이영준기자 kdlrudwn@seoul.co.kr 

 

음.... 이런 기사를 읽으면 Tony 어깨는 축.... Tony도 편히(?일하지 않고...?) 살고 싶은 맘 많다. 회사에 가서 윗분 눈치 보는거(요즘은 아렛 사람 눈치도 본다^^;),게다가 내 이름의 가게에서도 눈치 보기는 마찬가지...... 정신적 스트레스 엄청나다. 그렇지만...나 스스로 일 해서 삶을 유지해야 한다고 하늘 같이 믿고 있다. 이런 기사 읽다 보면 드는 생각... 절대 길거리에서 동냥 구하는 사람들 에게 자선 베풀지 말아야 겠다....-이런 생각 가지면 안되는데....--; Tony가 입 버릇 처럼 후배들에게 하는 말이 있다. 고기를 주지 말고 고기 잡는 법을 가르쳐 주라구..... 다들 정신 차리자!!!!!